top of page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

<진단>

미국 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의 정신장애 진단 통계편람(DSM-Ⅳ-TR)에 따르면, 다음 기준을 만족하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한다.

 

1. 개인이 자기자신 혹은 타인에게 실제적이고 위협적인 죽음, 심각한 상태, 위협적인 사건들을 실제로 경험하거나 목격하고, 이에 따라 극렬한 공포감, 무력감과 함께 고통스러움을 느낀다.

 

2. 심리적 외상을 초래하는 사건의 경험후에 다음과 같은 방식 중에서 1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지속적인 재경험이 일어난다.

1) 심리적 외상이 된 사건에 대하여 반복적이고, 사건에 대한 회상이 반복적이고 집요하게 나타난다.

2) 사건에 대한 꿈을 반복적으로 꾸며 고통스러워 한다.

3) 사건이 다시 일어나고 있는 것만 같은 감각, 환각 등이 일어나서 고통을 겪은 사건이 재발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거나 사건이 재현되고 있는 것처럼 행동한다.

4) 외상을 유발한 사건과 비슷하거나 상직적인 요소에 노출되었을 때 심각한 심리적 고통을 느끼거나 생리적으로 반응이 나타난다.

 

3. 심리적인 외상과 관련되는 자극에 대한 지속적인 회피반응이나 일반적인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다음 중 3가지 이상에 해당할 때

1) 심리적인 외상과 관련되는 대화, 사고, 감각을 피한다.

2) 심리적 외상을 떠오르게 하는 장소, 행동, 사람들을 피한다.

3) 심리적 외상의 중요한 부분에 대하여 기억장애가 나타난다.

4) 흥미나 참여가 매우 저하되어 있다.

5) 타인들과의 관계에서 지나친 소외감을 느낀다.

6) 정서적인 범위에 있어 제한을 보인다.

7) 미래에 대한 기대, 정상적인 삶에 대한 기대가 상실된다.

 

4. 심리적 외상을 경험하기 전에는 없었으나 외상후에 증가된 각성반응을 보인다(다음중 2가지 이상)

1) 수면장애(입면곤란, 혹은 수면유지 장애)

2) 심리적 과민, 혹은 쉽게 분노하는 성격으로의 변화

3) 집중력의 저하

4) 타인이나 상황에대한 과도한 경계태세

5) 지나치게 잘 놀라는 반응을 보임

 

대체로 이와 같은 증상이 3개월 이상나타나서 일상생활과 직업적인 부분, 대인관계 등에서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때 진단할 수 있으며, 적극적인 치료를 요하게 된다. 

본원: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 336-1번지 사업자등록번호: 603-90-38683 코스비한의원 대표: 오창선                                                       

TEL. 051-202-4445  FAX.051-202-7515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변지연 

  • w-facebook
  • Twitter Clean
  • Google Clea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