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
구안와사는 말 그대로 입과 눈이 비뚤어져 있다는 뜻이며 와사풍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신체내적인 불균형이 외부로 표현된 병이라 볼 수 있으며, 안면의 근육과 신경을 경직시켜 증상을 나타내게 됩니다. 구안와사의 증상은 단지 이런 불편함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더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안면마비가발생한경우는크게구분하면, 중풍이나 뇌출혈의 원인으로 발생한 중추성마비, 중풍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말초성마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안면마비 증상의 치료를 위해서는 두 가지를 구별해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말초성 마비의 경우 Bell마비와 대상포진이 많은 부분을 차지 합니다.
안면(얼굴)신경마비의 증상은 수시간 또는 수일 내에 나타나며, 완전마비 또는 부분마비로 나타납니다. 대개 한쪽에만 증상이 나타나는 편측성이고, 얼굴의 이상감각이나 얼굴의 비뚤어짐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면마비의 발병률은 인구 10만명당 8~240명 중 1명 정도로 비교적 흔한 질환입니다.
발병 연령층은 크게 구분지을 수 없으나 남성은 40대 여성은 20대에서 쉽게 발생합니다. 어린이와 임산부에게도 발병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과로와 스트레스를 피하는 등의 컨디션 관리가 중요합니다. 이외에도 당뇨병환자에서 5배 정도, 고혈압 환자에서 4배 정도로 더 흔합니다.
중추신경계이상이나 뇌졸중으로 발생한 경우는 입 주위의 근육은 마비 증상이 보이지만 이마는 괜찮은 편이고 벨씨 마비는 눈과 입의 마비증상이 주요한 증상이 됩니다 물론 정확한 진단은 다른 사항을 참조해야 합니다.
분류(신경 침범부위에 따른 분류)
중추성 안면신경마비
뇌혈관장애(뇌출혈이나 뇌경색) 뇌종양 또는 뇌염등으로 인해 뇌교에 있는 안면신경핵으로부터 중추측에 안면신경로가 손상된경우입니다. 이경우는 구안와사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뇌질환이 더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 합니다. 이마의 주름 여부로 중추성과 말초성을 구분하는 경우외에 뇌질환 특유의 증상으로도 구분이 가능합니다. 보다 적극적으로 진단할경우 뇌MRI촬영을 통해 뇌질환을 스크리닝할 필요가 있습니다.
말초성 안면신경마비
여기에는 핵성 마비와 핵하성 마비가 있습니다. 핵성 마비는 말그대로 안면신경핵이 있는 뇌교의 질환(종양 염증 혈관장애등)으로 인해 일어나는 안면신경마비입니다. 임상에서 그리 흔한편이 아닙니다. 핵하성 마비는 안면신경핵보다 말초측에서 안면신경이 장애를 받았을 때 일어납니다. 원인은 종양 감염 외상등이 있습니다. 이때 감염에 의한 핵하성 안면신경마비를 길리안 바레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스트레스과 과로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벨마비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특발성 안면신경 마비를 벨마비라고 합니다.(Bell’s palsy) 증상은 이마에 주름을 만들 수 없으며 눈을 감을수 없고, 눈감으려고하면 안구가 위로 올라갑니다. 입도 돌아가면서 휘파람 불기가 힘들어집니다. 벨마비가 가장 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람세이 헌트 증후군(Ramsay Hunt’s syndrome)
안면신경의 슬신경절이 헤르페스에 감염되면 고막 외이도 이개에도 병변이 나타납니다. 증상은 귓바퀴와 그둘레의 목부위 후두부(외이도를 포함)에 수포가 보이고. 신경통 같은 동통을 동만하는 안면신경마비를 일컫습니다. 이외에도 난쳥 이명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